WSL2 Error: 0x80370102 설치 에러
WSL은 윈도우즈 환경에서 리눅스를 구동시켜주는 하위 시스템(Sub System)이다. WSL2로 업데이트 되면서 Hyper-V 가상화 기술이 적용되어 리눅스 커널을 탑재하게 된다. 덕분에 윈도우즈 환경에서 완벽하게 리눅스 환경를 구현할 수 있다. WSL을 설치하는 도중 0x80370102 에러가 발생한다면 다음과 같이 해결할 수 있다.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문제 해결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에서 Linux를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오류 및 문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docs.microsoft.com
원인 : 가상화 기능 (Hyper-V) 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거나, CPU의 가상화 기술이 작동중이지 않을 때 발생
1. Hyper-V 설정을 확인한다.

제어판에 들어간 뒤 '프로그램 및 기능' 항목을 클릭한다. 왼쪽에 있는 'Windows 기능 켜기/ 끄기' 를 클릭한다.

Hyper-V에 있는 항목들을 위와 같이 체크 한 뒤 '확인'을 누르고 재부팅 한다.
2. 바이오스(BIOS)에서 CPU의 가상화 기술을 활성화 한다.
인텔CPU의 경우


컴퓨터 전원버튼을 누르고 부팅 화면에서 'DEL'키를 연타해서 바이오스 화면으로 진입한다. (키는 제조사 마다 다를 수 있음) 이후 CPU 고급설정 (Advanced CPU(Processor) Configuration) 로 들어가서 'Intel Virtualization Technology' 의 상태를 'Enable'로 변경한 뒤 재부팅 해준다.
AMD CPU의 경우


*MSI 메인보드 기준
OC - CPU Setting 에 있는 Advanced CPU Configuration 으로 진입한다. 이후 'SVM Mode'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한다.
위 해결방법을 적용한 뒤 컴퓨터를 재부팅하고, 다시 WSL2 설치를 진행하면 정상적으로 설치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정보기술 >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팟 프로(Airpods Pro) 이어팁 교체법 (0) | 2020.12.07 |
---|---|
[아이폰, 아이패드] 음악 이퀄라이저(EQ) 설정하는 방법 (0) | 2020.11.10 |
[아이폰, 아이패드] 키보드 변경하는 법 (0) | 2020.11.10 |
KT 와이파이(홈허브, 기가와이파이) 특정 사이트 차단 방법 (0) | 2020.05.29 |
애플 '파일앱' 에서 Onedrive, 구글드라이브 추가하기 (0) | 2020.04.06 |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