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젠이 개인용 PC시장에 가져온 파급력은 대단하다. 예전같았으면 다중코어, 다중쓰레드 CPU를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려면 상당히 비싼 가격을 지불했어야 했다. 예를들어 i3는 2코어 4쓰레드, i5는 4코어 4쓰레드, i7는 4코어 8쓰레드, 또는 6코어 12쓰레드가 최대였고, i5의 가격은 20만원 중후반, i7의 경우 최소 40만원 이상 지불했어야 했다. 라이젠의 등장으로 지금 인텔CPU의 가격 또한 낮아졌으며 i5는 이제 6코어 12쓰레드를 지원한다. 불과 3년전만 해도 상상도 못했을 일이다. 최근에 컴퓨터를 업그레이드 했다. 17년 초부터 사용했으니 실사용기간만 4년이다. i5 7500이라는 CPU는 상당히 좋은 CPU지만 최근 다중작업 환경과 게임 환경에서 부족한 건 사실이다. 4코어 4쓰레드의..
1. USB 포맷을 FAT32로 설정했는가? 바이오스 롬파일이 들어있는 USB 드라이브를 'FAT32' 형식으로 포맷을 해야, 바이오스에서 인스턴트 플래시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NTFS같은 다른 형식으로 포맷을 한 건 아닌지 확인한다. 참고로 롬파일은 USB 드라이브 최상위 경로에 들어있기만 하면 된다. root 폴더를 따로 만들어주지 않아도 된다. 2. 메인보드 이름을 다시 한번 확인하자. 'BX50'이랑 'BX50M'은 다르다. BX50은 일반 ATX사이즈 크기의 메인보드이고, BX50M은 m-ATX 사이즈 메인보드다. 다시한번 메인보드 모델을 확인한 뒤 바이오스 롬파일을 다운로드 받자. 나도 B250만 검색해서 제대로 확인도 안해보고 맨 위에껄 눌러 다운로드 했다가 10분정도 끙끙 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