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1일 북한과 미국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트의 한 호텔에서 만나 극비 회담을 가졌다. 북한의 핵실험과 중장거리 미사일 발사시도가 이어지고, 이에 대응해서 북한에 대한 강경대응론이 힘을 얻고 있는 시점에서 북한과 미국의 만남은 많은 의문점을 낳는다. 미국은 왜 하필 이 시점에 북한과 비밀리에 접촉을 가졌을까? 출처 : KBS 북한 미국 한상렬 (현 북한 외무부 부장) 로버트 갈루치 (1994년 제네바합의 미국 대표) 장일훈 (현 유엔 주재 북한 차석대사) 조지프 디트라니 (미 국가정보국 북한담당관) 우선 회담 참석자 명단을 살펴보자. 북한은 한상렬 북한 외무부 부장과 장일훈 유엔 주재 북한 차석대사를 배석했고, 미국은 1994년 북미 제네바합의를 이끌었던 미국 대표 로버트 갈루치와 CIA 북한담당관..
연일 북한과의 관계가 나빠지고 있다.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실험을 규탄하며 강력한 제재안을 만드는데 또다시 움직이고 있고, 미국은 국제사회에 북한과의 외교관계를 단교(斷交) 하거나, 격하하라고 공식적으로 요청했다. 내부에서는 '북핵 선제타격론'이 슬슬 나오는 중이며, 우리나라는 외교부와 통일부를 중심으로 국제사회의 제재를 끌어내리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또한 공영방송 등에서는 단독취재를 통해 북한의 실상을 집중적으로 파헤치고 있고, 정부의 '강경대응론'에 입김을 불어놓고 있는 중이다. 북한의 핵위협이 현실화가 되자, 국내 보수여론을 중심으로 '핵무장론' 이 머리를 내밀기 시작했다. '핵무장론'의 요점을 살펴보자면 북한의 핵위협은 데드라인이 넘었으며, 더이상 지체할 경우 북한에 끌려다닐 수 밖에 없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