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윈도우10에서는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다운받아 설치하기 때문에 안정성이나 성능이 떨어지는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설치되거나 드라이버가 충돌을 일으켜 강제로 먹통이 되는 사례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특히 AMD그래픽카드를 사용하신다면 윈도우 자체에서 카탈리스트 최신버전을 설치하기 때문에 오류나 성능저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자동으로 다운받아줘서 편하긴하지만 원치않는 드라이버 때문에 컴퓨터가 고장이 난다면 난감하겠죠?
그래서 윈도우10에는 자동으로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끄는 법이 존재합니다. 어떻게 기능을 비활성화 시키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왼쪽아래에 있는 윈도우키를 마우스 오른쪽으로 클릭한 뒤
'제어판(P)' 을 실행합니다.
제어판 항목 중에서 '장치 및 프린터' 를 실행합니다.
'장치' 항목에 있는 '사용자명-PC' 로 되어있는 데스크톱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한 뒤 '장치 설치 설정(I)'에 들어가도록 합니다.
여기서
'아니요, 작업을 직접 선택합니다(L)' 를 체크합니다.
→ 'Windows 업데이트에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습니다(N)' 를 체크합니다.
→ '장치 제조업체에서 제공한 장치 앱 및 정보 자동으로 가져오기(G)' 의 체크를 해제합니다.
이렇게 하면 윈도우 업데이트 때 자동으로 하드웨어의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정보기술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북(Surface Book) 공개, 옵션 가격 (0) | 2015.10.07 |
---|---|
윈도우10 부팅 시 자동로그인 설정 방법 (0) | 2015.09.24 |
아이피타임(IPTIME) 공유기 리셋 초기화 방법 (0) | 2015.09.17 |
nosstarter.npe 오류 해결법 및 삭제하는 방법 (6) | 2015.08.24 |
윈도우10 기본브라우저를 엣지브라우저로 변경하는 법 (1) | 201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