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1일 북한과 미국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트의 한 호텔에서 만나 극비 회담을 가졌다. 북한의 핵실험과 중장거리 미사일 발사시도가 이어지고, 이에 대응해서 북한에 대한 강경대응론이 힘을 얻고 있는 시점에서 북한과 미국의 만남은 많은 의문점을 낳는다. 미국은 왜 하필 이 시점에 북한과 비밀리에 접촉을 가졌을까? 출처 : KBS 북한 미국 한상렬 (현 북한 외무부 부장) 로버트 갈루치 (1994년 제네바합의 미국 대표) 장일훈 (현 유엔 주재 북한 차석대사) 조지프 디트라니 (미 국가정보국 북한담당관) 우선 회담 참석자 명단을 살펴보자. 북한은 한상렬 북한 외무부 부장과 장일훈 유엔 주재 북한 차석대사를 배석했고, 미국은 1994년 북미 제네바합의를 이끌었던 미국 대표 로버트 갈루치와 CIA 북한담당관..
본 글은 그냥 주절주절 써놓은것뿐입니다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로켓에서 발생한 연쇄작용이 동아시아 지역을 혼란으로 집어삼키고 있다. 북한은 미국을 협상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해 핵실험과 장거리로켓 발사를 하였고 우리나라는 이를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하여 개성공단폐쇄 및 THAAD(종말고고도요격체계)를 도입하고 강도높은 한미군사훈련을 시행중이다. 일본 역시 독자제재안을 통해 북한을 경유했던 모든 선박의 입항을 금지시키고 대북송금도 차단했으며 미국은 북한에 반응을 하는 대신 유래없이 강력한 제재안 (세컨더리 보이콧)에 오바마가 서명했다. 대북제재의 핵심키를 잡고있는 중국은 내심 북한을 껄끄럽게 생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과의 자존심싸움으로 연일 막장행보를 보이고 있다. 초반에는 중국이 대북제재에 적극적으로 참..
북한이 10월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념을 기념해 1~2조원을 쏟아부어 군사 퍼레이드를 벌였다. 이 날 300mm 신형 방사포와 함께 KN-08의 탄두개량형으로 보이는 미사일이 공개되었고 핵배낭 부대가 직접 걸어가며 사열했으며 AN-2기를 이용해 노동당 마크와 70주년을 뜻하는 숫자 '70' 을 그리며 축하비행을 하는 등 한 해 예산의 3분의 1을 쓰는 미친 파티를 벌였다. 북한이 이번 노동당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공개한 신형 방사포인 300mm 방사포의 차체가 중국 민수용 트럭이라는 설이 밀리터리 사이트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 근거로는 2012년 4월 KN-08 미사일을 처음 공개할때 역시 차체가 중국용 민수 트럭이었으며 이번에 공개된 방사포의 차체도 중국 민수용트럭과 많이 흡사하다는 것이..
방금전 속보에 의하면 북한군의 잠수함들이50척이상 식별이 안되고 있으며 70%의 가동율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회담을 시작한 뒤 포병전력을 두배이상 증강시켰다고 군 당국이 밝혔습니다. 상식적으로 70%라는 가동율은 사전준비가 안되어있다면 불가능한 수치며 이는 김정은이 계획적으로 도발움직임을 준비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어제 들려온 소식인데 북한의 정찰총국 소속 특수전요원들이 최전방으로 급파되었다고 합니다. ( 北, 정찰총국 특수戰 요원들 최전방 투입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8/22/2015082200168.html?related_all ) 정찰총국은 대남도발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부서로 천안함, 연평도포격 사건의 배후라고 알려짐. 군당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