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GB(Korea GPS Guided Bomb)는 2006년부터 LIG넥스원과 국방과학연구소(ADD)이 공동으로 개발한 유도폭탄으로 한국형 JDAM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유도장치가 없는 폭탄에 KGGB키트를 장착하게 되면 GPS와 INS를 통해 목표물을 유도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북한의 장사정포 갱도를 무력화시킬수 있으며 개전 초기에 북한의 장사정포들을 쉽게 파괴 할 수 있게 되었다.
미군의 JDAM과 많이 유사하지만 JDAM의 사거리가 28km에 불과한 반면 KGGB는 글라이더 날개가 달려있어 최대 110km로 멀리서 목표물을 무력화 시킬수있다. JDAM을 투하하기 위해서는 저공에서 날아야하며, JDAM의 사거리도 짧기때문의 전투기의 생존성이 큰 문제였고 미군은 JDAM을 투하하는걸 꺼려할정도였으나, KGGB는 사거리가 최대 110km이므로 멀리서 발사하기때문에 전투기가 지대공미사일에 격추당하는 일같은 불상사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비행하는 도중 목표물 변경이 가능하며, 가장 큰 장점은 우리 공군의 오래된 전투기인 F-5에 탑재가 가능해 작전능력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JDAM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전투기개량을 통해 항공장비를 교체해야 하지만 KGGB 같은 경우 조종사가 휴대하고 있는 PDU를 통해 유도를 하기때문에 따로 전투기를 개량할 필요가 전혀 없다.
또한 북한은 장사정포를 갱도안에 넣었다가 유사시에 밖으로 노출시켜 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고 이런 이유로 기존의 K9자주포나 천무같은 다연장포로 개전초기 북한의 장사정포를 무력화시킬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KGGB가 개발되면서 육군의 포병화력으로 제압하지 못하는 장사정포를 공군의 KGGB로 무력화시켜 만약 전쟁이 발발했을시 우리군의 피해를 최소화시킬수 있고 신속하게 적의 화력을 무력화시킬수 있게 되었다.
참고자료
네이버캐스트 <스마트폭탄>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07&contents_id=4338
나무위키 KGGB 문서 : https://namu.wiki/w/KGGB
LIG넥스원 사보 <근두운 2013 Vol.56호> : https://www.lignex1.com/userdata/webzine/201306/PDF_201306_1370919245181_1.pdf
'생각해보다 > 북한과 군사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형발사체(KSLV-II)의 발사비용과 경제성? (0) | 2016.06.01 |
---|---|
한국형발사체 75톤급 엔진 30초 연소시험 (0) | 2016.05.29 |
북한 인민군 최고사령부 중대발표 "청와대가 1차목표" (0) | 2016.02.23 |
한국형발사체 75톤 엔진 목업, 2단 탱크 격자 패턴 (아이소그리드) (0) | 2016.02.21 |
2월 14일 밤 V24 난수방송 재개? (0) | 2016.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