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서는 한국형발사체(KSLV-II)의 발사비용이 상당히 높다는점을 이유로 사업 자체를 4대강급 삽질이니 돈낭비니 비판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래서 구글신의 힘을 빌려서 한번 관련 자료를 모아보았다.
1. 한국형 발사체의 발사 비용은 어느정도 되는가?
<2009년 환율 기준으로 작성된 발사비용>
출처: 2011년 6월자 한국항공우주학회지 (http://ocean.kisti.re.kr/downfile/volume/ksass/HGJHBY/2011/v39n6/HGJHBY_2011_v39n6_567.pdf)
<2010년 환율 기준 발사 비용>
출처 : 발사체 개발비용 산정 및 평가모델 개발_한국항공대학교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5256626&dir_id=0&page=0&query=%EC%98%88%EC%82%B0%20MYr&ndsCategoryId=10704)
< 우선 발사비용 측정에는 TRANSCOST라는 모델이 사용되었으며 MYr(Man-Year-Effort)라는 단위가 사용되었다. MYr은 연간 프로젝트 예산을 전체 인력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
2011년 6월 한국항공우주학회지에 실린 TRANSCOST 방식의 발사비용 계산에 따르면 한국형발사체(KSLV-II)를 연간 1회 발사했을때 비용을 $94M(915MYr) 이며 연간 5회 발사했을때의 비용을 $64M(623MYr)으로 계산하고 있다. 이는 동급의 LEO(저지구궤도) 발사체의 발사비용을 비교해보았을때 'VEGA'는 $20M, 'DELTA-II'는 $35M로 상대적으로 높은편에 속한다. 동일한 계측모델로 2010년 환율을 적용했을때에는 연간 1회발사시 911억원, 연간 5회 발사시 592억원이며 이를 환율 1200원으로 환산하여 계산하면 약 $49M으로 나온다. 역시 'VEGA'의 $28M, 'TAURUS XL'의 $28M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이다. 즉 한국형발사체의 발사비용이 높은건 사실이다.
하지만 한국형발사체(KSLV-II)는 한국에서 처음 개발된 발사체임을 감안해야하며 지속적인 투자와 개발로 발사 비용을 낮추고 잦은 발사로 신뢰성을 확보해 보험비용 등을 줄인다면 충분히 한국형발사체도 상업용 발사체로서 매력적인 발사체로 거듭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실제로 2020년까지 한국형발사체 개발을 완료하고 개량을 통해 발사비용을 절감하는 계획을 준비중이라고 한다. 즉 한국형발사체의 발사비용은 시간이 지날수록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각에서 30년동안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할것이다, 4대강급 삽질이다 하는것은 매우 과장된 해석이라고 볼 수 있다.
2. 그런데도 불구하고 한국형 발사체 사업을 하는 이유?
한국형발사체(KSLV-II)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2008)
정부에서는 한국형발사체가 단순히 위성을 쏘아올리는 '발사체'로 한정된 역할로만 보는게 아니라, 국내 제조업의 기술을 총 결집하고 기술발전을 견인해 연관효과를 노리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예비타당성 보고서에서도 '단순한 비용 대비 편익이라는 경제성 분석의 잣대로만 판단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함' 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국형 발사체 개발 계획_2013 미래창조과학부 >
발사비용이 높더라도 해외의 정치적, 외교적인 사정으로 발사가 지연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이유도 포함이 되어있다. 실제로 아리랑5호도 일방적인 러시아측의 연기로 2011년 8월 발사예정이었으나 2013년 8월로 연기 된 적이 있다. 2년동안 창고에서 위성을 썩혀야하는 잠재적비용도 만만치 않을것이다. 그리고 우주개발 연구실적이 미미할 경우 국제 공동 연구에서 한국이 도태되버리는 문제를 낳을 수 있다는 정부의 불안감도 일부 반영이 되어 있는듯하다. 또한 항공우주사업은 미래산업의 원동력이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느끼는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현상이다.
즉 단순히 발사비용, 경제성만으로 우주개발의 필요성을 논할 수 없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다 > 북한과 군사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에는 핵으로 대응 … '핵무장론' (1) | 2016.09.30 |
---|---|
한국형 발사체 75톤급 엔진 근황. 145초 연소 성공 (0) | 2016.09.21 |
한국형발사체 75톤급 엔진 30초 연소시험 (0) | 2016.05.29 |
한국형 JDAM, GPS유도폭탄 KGGB (0) | 2016.04.05 |
북한 인민군 최고사령부 중대발표 "청와대가 1차목표" (0) | 2016.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