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주체로는 가계, 기업, 정부로 나뉜다. 이번 시간에는 경제에서 가계와 기업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볼것이다. 우선 가계의 역할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 가계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요자이며 생산요소의 공급자이다.
- 기업은 재화와 서비스의 공급자이며 생산요소의 수요자다.
기업은 여러분들이 알고있는 회사이다. (설명이 필요없을것이다) 기업은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해서 분배하고, 가계는 이것을 소비한다. 생산이라는 말에는 재화를 단순히 만들어낸다는 의미만 존재하는게 아니라, 재화를 만들어서 운송하고 보관하고 저장하는 일련의 행위들을 전부 포함하는 용어이다.
기업은 생산요소의 수요자다. 위에서 말했듯 기업활동을 하기위해서는 노동력도 필요하고 자본도 필요하고 토지도 필요하다. 이것들을 가계로부터 공급받고 그 대가로 노동자들에게 월급을, 투자자와 은행들에게 이자를, 부동산 주인에게는 지대를 지불한다. 이는 가계의 소득이되며 국민소득을 증가시키고, 국가경제에 중요한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 기업은 사회에 혁신이라는 결과물로 기여한다. 기업의 최우선목표는 이윤을 창출하는것이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좋은 상품을 어떻게 저렴하게 제공할까'를 고민하게 된다. 기업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술개발에 투자하고, 조직문화를 바꾸는등 혁신을 시도한다. 이는 곧 소비자들에게 더 좋은 물건을 더 싸게 공급하게 되므로 소비자들의 만족감이 증가한다.
*효용 : 위에 글에서 '소비를 함으로 만족감을 얻는다' 라고 표현했는데, 이 만족감을 '효용' 이라고 한다. 기업이 혁신을 할수록 소비자들의 효용은 더 증가한다.
*생산요소시장과 생산물시장 : 어려워 할 필요 없다. 앞서 배운 시장의 개념을 세분화시킨것에 불과하다. 생산물시장은 여러분 주위에 있는 재래시장, 마트, 백화점을 생각하면 된다. 생산요소시장은 부동산거래소, 주식거래소, 은행, 취업박람회 같은걸 생각하면 된다.
'생각해보다 > 경제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맥스(BitMex) 마진거래 - 주문방법, 공매수와 공매도 그리고 청산 (0) | 2019.06.15 |
---|---|
비트맥스(BitMex) 마진거래 가입방법 (0) | 2019.06.03 |
2. 경제 체제와 경제 목표 (0) | 2016.10.02 |
1. 경제 생활과 희소성의 세가지 문제 (0) | 2016.09.22 |
우리는 왜 경제를 알아야 하는가? (0) | 2016.09.18 |